티스토리 뷰

목차



     

    만 18세 미만 자녀가 3명 이상인 다자녀 가구라면, 자동차세와 취득세를 감면받을 수 있는 혜택이 있다는 사실, 알고 계셨나요?

    이 제도는 가계 부담을 줄이기 위한 정부의 지원 정책으로, 차량 유지비를 절감하는데 큰 도움이 됩니다. 이번 포스팅에서는 다자녀 가구의 자동차세 감면 혜택을 위한 조건과 신청 방법, 유의사항까지 자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.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다자녀 가구 자동차세 감면 조건

     

    ① 자녀 수 조건

     

    • 만 18세 미만 자녀가 3명 이상이어야 합니다.
    • 단, 자녀 중 장애인이 포함된 경우 연령 제한이 없습니다.
    • 모든 자녀와 부모가 주민등록등본에 함께 등재되어 있어야 합니다.

    ② 감면 대상 차량 조건

     

    • 1가구 1대의 차량에만 감면 혜택이 적용됩니다.
    • 감면 대상 차량:
      • 배기량 2,000cc 이하 승용차
      • 15인승 이하 승합차
      • 1톤 이하 화물차
      • 경차 및 친환경 차량(전기차, 하이브리드차)

    ③ 차량 소유자 조건

     

    차량 소유자는 다자녀 가구의 부모 또는 법적 보호자여야 합니다.

     

     

    다자녀 가구 자동차세 감면 혜택

     

    ① 자동차세 감면

     

    자동차세의 50% 감면 혜택이 제공됩니다.

    예: 1,600cc 승용차 → 기본 자동차세 224,000원 → 감면 후 112,000원

     

    ② 취득세 감면

     

    차량 구매 시 발생하는 취득세를 최대 100만 원까지 감면받을 수 있습니다.

    예: 취득세 150만 원 → 감면 후 50만 원만 납부

     

    ③ 지방교육세 감면

     

    자동차세 감면 금액에 비례하여 지방교육세도 감면됩니다.

    예: 50% 감면된 자동차세 112,000원 → 지방교육세 33,600원 (50% 감면 적용)

     

     

    자동차세 감면 신청 방법

     

    ① 준비해야 할 서류

     

    • 주민등록등본: 부모와 자녀가 함께 등재된 서류
    • 자동차등록증: 감면 대상 차량 확인
    • 신분증: 차량 소유자 본인 확인

     

    ② 신청 방법

     

    1. 온라인 신청: 위택스(Wetax) 홈페이지 또는 모바일 앱
    2. 오프라인 신청: 차량 등록지 관할 구청의 세무과 방문

     

    ③ 신청 기한

    • 자동차세 감면: 매년 납부 기한(6월, 12월) 이전 신청
    • 취득세 감면: 차량 구매 후 60일 이내 신청

     

    다자녀 가구 자동차세 감면 혜택 예시

     

    예시 1: 1,600cc 승용차

     

    • 기본 자동차세: 224,000원
    • 감면 후 자동차세: 112,000원 (50% 감면)
    • 기본 지방교육세: 67,200원
    • 감면 후 지방교육세: 33,600원

     

    예시 2: 경차 (1,000cc)

     

    • 기본 자동차세: 80,000원
    • 감면 후 자동차세: 40,000원
    • 지방교육세: 감면 혜택 없음

     

    다자녀 가구 자동차세 감면 주의사항

     

    • 1가구 1대 차량 제한: 감면 혜택은 가족 소유 차량 중 등록된 한 대의 차량에만 적용됩니다.
    • 조건 충족 여부 유지 필요: 자녀가 만 18세를 초과하거나 자격 요건을 충족하지 못할 경우 감면 혜택이 취소될 수 있습니다.
    • 혜택 중복 불가: 장애인 차량 감면 등 다른 감면 혜택과 중복 적용이 불가능합니다.

     

    다자녀 가구를 위한 자동차세 감면 제도는 실질적으로 가계 부담을 줄일 수 있는 효과적인 정책입니다. 특히 자동차세와 취득세에서 각각 큰 혜택을 받을 수 있으니, 조건을 충족하는 가구라면 반드시 신청하세요!

     

    자동차세 감면 신청 필요 서류를 잘 준비해서 온라인 또는 관할 구청으로 간편하게 신청하세요.